레이블이 윈도우원격제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윈도우원격제어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09년 9월 28일 월요일

vncserver 리눅스에 설정하기 보안터널(ssh)을 이용해서 사용

아래 내용 참조
vncserver 설정하기

1. VNC server 구축하기
vnc-server.rpm
vnc.rpm
설치

vnc설정 파일
/etc/sysconfig/vncservers

VNCSERVERS="1:root"
VNCSERVERS[1]="-geometry 800x600"

참고로 보안설정이 있는경우 포트가 열리지 않는다. 따라서 포트를 정확히 알아야하는데.
VNCSERVERS="1:root" 는 포트 번호가 기본적으로 5901번부터 포트가 할당된다.
만일 VNCSERVERS="2:root" 라면 당연히 연결포트는 5902번이 되겠다.

***********만일 보안터널을 이용하려면 이부분을 고쳐준다.**********
VNCSERVERS="1:root"
VNCSERVERS[1]="-geometry 800x600 -nolisten -nohttpd -localhost"
이렇게 해서 로컬이외의 상황에서 vnc로 접근을 하지 않도록 막는다.


설정파일 내용
위의 1:root 부분에서 1은 디스플레이 번호를 의미하며 root는 계정명을 나타낸다.
VNCSERVERS[1]="-geometry 800x600"은 1번 디스플레이 번호에 대한 해상도를 설정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많아서 디스플레이 번호가 2, 3, 4식으로 증가하면 ‘[‘와 ‘]‘사이의 숫자를 변경하여 설정하면 된다.

처음에 vnc서버를 시작하면 서버가 작동이 안되는데 그 이유는 vnc서버 사용자 root가 암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암호를 만들기 위해서 다음의 과정을 따라하자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패스워드입력’

이제 다시 vnc서비스를 재시작하자
그러면 /root/.vnc 디렉토리 밑에 xstartup파일이 생성될 것이다

[tip1] 이제 밑의 vnc 클라이언트를 이용하여 vnc서버에 접속을 하면은 xwindow를 사용하여 자신만의 윈도우 매니저를 사용한다면 해당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안나오고 기본적인 twm이 시작할 것이다. 자신이 사용하고자 하는 윈도우 매니저가 나타나기를 원할 경우에는 $HOME/.vnc/xstartup 파일에서
#unset SESSION_MANAGER
#exec /etc/X11/xinit/xinitrc
부분의 ‘#’을 지워서 주석을 제거해준다.

[tip2] 루트는 vnc사용자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etc/sysconfig/vncserver 파일을 설정하고 사용자는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vnc디렉토리를 만들고 vncpasswd 명령으로 passwd파일을 만들어야 한다.

ex) /etc/sysconfig/vncserver
VNCSERVERS="1:root 2:test 3:test2"
VNCSERVERS[1]="-geometry 800x600"
VNCSERVERS[2]="-geometry 800x600"
VNCSERVERS[3]="-geometry 800x600"

ex)일반 사용자들의 홈디렉토리에서 패스워드 설정하는 방법
$cd ~
$mkdir .vnc
$cd .vnc
$vncpasswd
Password: 패스워드 입력(6자 이상)
Verify: 패스워드 입력 확인

위의 과정에서 $HOME/.vnc 디렉토리에 passwd파일이 만들어진다.
$ls $HOME/.vnc/
passwd

2. VNC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vncviewer ip-address:디스플레이번호

************************ 만일 보안 터널을 이용해서 접근하려면 ***************
ssh -f -L 내컴에서사용할포트번호임의번호:127.0.0.1:서버에설정된서비스포트번호 ID@server_name -p ssh_port sleep 10; vncviewer 127.0.0.1:내컴에서 사용할포트번호앞에쓴거:디스플레이번호

ssh -f -L 25901:127.0.0.1:5901 ID@server_name -p ssh_port sleep 10; vncviewer 127.0.0.1:25901:1

윈도우용 vnc서버, 클라이언트는 www.tightvnc.com에 가면 다운로드 메뉴에서 찾을 수 있다.


윈도우 explorer에서 vncserver에 접속하는 방법
http://ip-address:5800+display-number
ex)http://191.111.1.1:5801 <-1번 디스플레이번호를 쓰는 루트의 접속



윈도우에서 ssh 터미널을 이용한 vnc 원격데스크탑을 사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클라이언트 설정

1. putty 프로그램을 가져와 설치한다.

http://kldp.net/projects/iputty/

2. putty의 환경설정

1) [접속][SSH][X11]
x디스플레이 위치 서버에서 설정한 디스플레이번호 번호입력 (예;1)
2) [접속][SSH][터미널]
원 포트 : 원래 원격터미널에 사용할 서버의 포트를 입력한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번호가 1이면 5901번이 된다.
대상 : 내부아이피에 내부 할당할 내부 포트 예제처럼하면 된다.

3) [세션]
세션에 연결할 서버의 아이피와 포트번호를 입력한다. 이것은 ssh서버의 주소와 아이피 되겠다.

3. vnc 뷰어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http://www.realvnc.com/products/download.html

4. vnc 뷰어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내부아이피와 포트번호로 접속한다.
이때 아이피와 포트는 2-3에서 설정한 대상아이피와 포트번호이다.